[Web3.0]/블록체인

이더리움의 Account Structure (2) - 자료구조

_niel 2023. 2. 17. 12:24

 

각각의 블록헤더에는 StateRoot가 있는데, 이더리움은 많은 상태의 효율적으로 계산과 변경을 위해 Merkle Patricia Trie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.

 

위 다이어그램의 월드 스테이트 트리(World State Trie)에는 EOA와 CA의

 

1. nonce(이중지불 방지)

2. balance(잔고)

3. codeHash

4. storageRoot 라는 또 다른 해시트리의 루트값 이 있다.

 

 

transactionRoot는 트렌젝션들의 해시트리 루트값 (트랜잭션 실행 명세)
receiptRoot는 이벤트 로그들의 해시트리 루트값이다 (트랜잭션 결과값)

 

storageRoot

- Account storage contents Trie라고 하는 해시트리의 루트값

- CA들의 stroage 정보를 저장한다.

- 솔리디티에서는 memory, calldata를 제외storage 정보가 여기 저장된다.